안녕하세요. BIM 다이제스트입니다. 정말 오랜만이죠^^
오늘은 역설계(Reverse engineering)를 위한 오픈소스 기반 소프트웨어인 CloudCompapre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No. 117 - Reverse engineering 을 위한 오프소스 기반 소프트웨어 CloudCompare
엔지니어링 분야 podcast 방송(BIM, 컴퓨터 그래픽스, 소프트웨어 공학)입니다. 기존 Podcast 업체 서비스 종료(2011~2014.12)로, 해외 서버로 옮겨 다시 시즌 3(2015.4~)방송을 시작합니다.
2015년 11월 6일 금요일
2015년 8월 29일 토요일
No. 116 - Geospatial Forum 2015 - GeoBIM
안녕하세요. 오늘은 GWF 2015의 GeoBIM 세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GeoBIM에서는 공간정보와 BIM간의 통합,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따른 운영 방법 및 기술에 대한 내용이 발표되었습니다.
2015년 8월 1일 토요일
No. 115 - BIM-GIS 상호운용성과 BG-ETL (Extract, Transform and Load) 연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느 애청자 분이 요청한 BIM-GIS 상호운용성과 BG-ETL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어떻게 BIM, GIS같은 이질적인 시스템 간에 상호운용성을 잘 확보할 수 있는 지, 그 방법에 대해 고민했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No. 115 - BIM-GIS 상호운용성과 BG-ETL (Extract, Transform and Load) 연구
참고로, 이 내용은 Automation in contruction 저널에 출판된 논문입니다.
No. 115 - BIM-GIS 상호운용성과 BG-ETL (Extract, Transform and Load) 연구
참고로, 이 내용은 Automation in contruction 저널에 출판된 논문입니다.
2015년 7월 11일 토요일
No 114 - Geospatial World Forum 2015 키노트 세션 소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Geospatial World Forum (GWF) 2015 컨퍼런스 키노트 세션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겟습니다. GWF는 전 세계 공간정보기술과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컨퍼런스 및 전시회로써 공간정보산업의 지평을 확대하고 글로벌 이슈에 대한 수준 높은 공간정보이슈 토론 및 공간정보기술 전시를 목적으로 합니다. 올해는 스마트 시티와 관련된 키노트 세션이 많았습니다. 이와 관련한 세션 내용을 Podcast로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No 114 - Geospatial World Forum 2015 키노트 세션 내용 Podcast
오늘은 Geospatial World Forum (GWF) 2015 컨퍼런스 키노트 세션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겟습니다. GWF는 전 세계 공간정보기술과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컨퍼런스 및 전시회로써 공간정보산업의 지평을 확대하고 글로벌 이슈에 대한 수준 높은 공간정보이슈 토론 및 공간정보기술 전시를 목적으로 합니다. 올해는 스마트 시티와 관련된 키노트 세션이 많았습니다. 이와 관련한 세션 내용을 Podcast로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No 114 - Geospatial World Forum 2015 키노트 세션 내용 Podcast
2015년 4월 18일 토요일
No 113 - 호주 PTI/BIM 지침 - 문화/조달/계약
오늘은 호주 PTI/BIM 지침 중에 문화/조달/계약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히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호주의 지침은 사람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PTI을 잘 활용하려면, 조달자와 클라이언트의 역활은 프로젝트 팀 구성을 포함해, 설계자, 계약자, 자산 및 시설물 관리자에 걸친 정보의 공유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그 역활이 확장되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럼 호주 지침에서 문화/조달/계약 방식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지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Podcast Link - 호주 PTI/BIM 지침 - 문화/조달/계약
Podcast Link - 호주 PTI/BIM 지침 - 문화/조달/계약
2015년 4월 4일 토요일
No.112 - 호주의 Project Team Integration & BIM 지침
안녕하세요. 오늘은 2014년 12월에 출간한 '프로젝트 팀 통합과 BIM 적용을 위한 프레임웍(A Framework for the Adoption of Project Team Integration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BIM principle 에 게제된 것으로 오늘은 그 첫번에 해당하는 지침 소개에 대한 내용을 나눠보겠습니다.
본 내용은 아래 링크나 iTunes의 podcast를 통해 방송을 들을 수 있습니다.
No.112 - 호주의 Project Team Integration & BIM 지침
본 내용은 아래 링크나 iTunes의 podcast를 통해 방송을 들을 수 있습니다.
No.112 - 호주의 Project Team Integration & BIM 지침
2015년 3월 8일 일요일
No.111 - BIM digest season 3 시작과 최근 BIM 관련기술 동향
안녕하세요. 드디어 BIM digest season 3을 시작합니다. 이런 저런 일을 하면서, 새로운 서버로 자료들을 옮기고 복구하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네요. 이번 서버는 제발 없어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시즌 3 첫방을 기념하며, 2015년 BIM 관련기술 동향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방송을 들으시고 싶다면, 앞의 링크를 클릭하시거나, itunes에서 BIM digest (최신 podcast 버전)로 검색해 방송을 들으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방송을 들으시고 싶다면, 앞의 링크를 클릭하시거나, itunes에서 BIM digest (최신 podcast 버전)로 검색해 방송을 들으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No.110 - 최근 BIM 소식과 기술 연구 트랜드. 2014.11.30
최근 BIM 소식과 기술 연구 트랜드입니다.
지금까지 110개 정도 방송 파일을 다시 팟케이스로 갱신하였습니다. 앞으로 시즌 3로 방송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2015.3.9. 1:00 am.
지금까지 110개 정도 방송 파일을 다시 팟케이스로 갱신하였습니다. 앞으로 시즌 3로 방송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2015.3.9. 1:00 am.
No.102 - Collaborative architecture design - 2012.2.15
No.102 - Collaborative architecture design (건축 협업 디자인)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눔해 보겠습니다.
No.95 - Lean construction
No.95 -Lean construction 에 대한 내용을 나눔해 보겠습니다. 린 시공은 전통적인 방식에 대해 빠르고 기민한 시공을 가능하게 합니다.
No.94 - BIM server - 2013.10.19
No.94 - BIM server 내용을 나눔해 보겠습니다. 오픈소스 기반 서버로써 많은 API를 제공해 손쉬운 서비스 구현이 가능합니다.
No.92 - BIM roadmap - 2013.8.19
No.92 - BIM roadmap 에 대한 이야기를 나눔해 보겠습니다. BIM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성있는 로드맵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No.91 - Information modeling tools - 2013.7.21
No.91 - Information modeling tools내용을 나눔해 보겠습니다. 정보 모델링은 BIM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 말하는 모델링의 개념과 도구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No.78 - 3D 프린팅 기술 - 2013.2.23
No.78 - 3D 프린팅 기술 - 2013.2.23
후기 - 3D 프린팅 주제를 다룬게 벌써 2년 전이군요. 그때 사이트와 기사를 통해 공유했었습니다. 내용을 공유하는 의도는 좋았지만, 공유를 하다가 보면 실망할 때가 있습니다. 본인의 아이디어는 공유하지 않은 채, 남의 아이디어와 컨텐츠를 그대로 퍼서, 활용만 하고, 바로 앞에서는 모른 채 하는 사람이 있어 가끔 실망을 할때입니다. 우리는 가끔, 본인은 컨텐츠를 생산하고 공유 하지 않은 채, 다른 이들이 작업한 컨텐츠만 활용한 후, 고맙다는 말 한마디조차 않하는 예를 볼 때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런 경우를 경험한 적이 계신가요? 사실, 사람에 대한 실망은 있지만, 고민은 필요없는 일이죠. 게다가 사람에 대해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결국, 소비만 하는 이는 앞으로 더욱 아이디어나 컨텐츠가 고갈될 수 밖에 없겠죠. 반면에 스스로 아이디어와 컨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이는 앞으로 남은 시간과 공헌할 수 있는 일들이 훨씬 더 많으니깐요.
누구의 말 처럼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꾸준이 바보스럽게 지속해라'가 정답인 듯 합니다.
후기 - 3D 프린팅 주제를 다룬게 벌써 2년 전이군요. 그때 사이트와 기사를 통해 공유했었습니다. 내용을 공유하는 의도는 좋았지만, 공유를 하다가 보면 실망할 때가 있습니다. 본인의 아이디어는 공유하지 않은 채, 남의 아이디어와 컨텐츠를 그대로 퍼서, 활용만 하고, 바로 앞에서는 모른 채 하는 사람이 있어 가끔 실망을 할때입니다. 우리는 가끔, 본인은 컨텐츠를 생산하고 공유 하지 않은 채, 다른 이들이 작업한 컨텐츠만 활용한 후, 고맙다는 말 한마디조차 않하는 예를 볼 때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런 경우를 경험한 적이 계신가요? 사실, 사람에 대한 실망은 있지만, 고민은 필요없는 일이죠. 게다가 사람에 대해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결국, 소비만 하는 이는 앞으로 더욱 아이디어나 컨텐츠가 고갈될 수 밖에 없겠죠. 반면에 스스로 아이디어와 컨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이는 앞으로 남은 시간과 공헌할 수 있는 일들이 훨씬 더 많으니깐요.
누구의 말 처럼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꾸준이 바보스럽게 지속해라'가 정답인 듯 합니다.
No.57 - BIM scorecard - 2012.7.30
BIM 스코어카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BIM 프로젝트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눔해 보겠습니다.
No.35 - BIM Quality Check - 2012.2.11
BIM 품질 체크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BIM 산출물의 품질은 어떻게 검증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내용을 나눔해 봅니다.
No.34 - 유기적인 BIM 개발 - 2012.2.5
유기적인 BIM체계 개발이 무엇인지 이야기합니다. BIM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조직, 프로세스, 사람이 엮어 유기적으로 수행될 때 의미를 얻을 수 있습니다.
No.33 - 실용적인 BIM - 2012.1.29
실용적인 BIM이 무엇인지 이야기합니다. 목적에 맞지 않게 너무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BIM기술은 작업에 많은 오버헤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No.25 - Money ball과 BIM - 2011.11.28
Money ball과 BIM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건설 생산성을 어떻게 수치화하고 관리할 수 있을까에 대한 논의입니다.
No.24 - 한국BIM학회 국제 컨퍼런스 - 2011.11.20
BIM학회 국제 컨퍼런스 관련 이야기입니다. 이번 2011 학회에서는 많은 개발 기술 및 사례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No.22 - LH공사 IPD사례 발표 후기 - 2011.11.7
LH공사 IPD사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LH공사에서 발표한 DPR사의 IPD 수행 사례는 많은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합니다.
No.15 - 한국BIM학회 2011.9
한국BIM학회 세미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2011년 BIM 기술 개발에 대한 내용과 사례 발표가 있었습니다. 관련 내용을 요약해 나누어 보겠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2011년 BIM 기술 개발에 대한 내용과 사례 발표가 있었습니다. 관련 내용을 요약해 나누어 보겠습니다.
No.14 - IPD (Integrated Project Delivery) - 2011.8
IPD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Integrated Project Delivery는 프로젝트 이해당사자 간 컨센서스 기반 계약 및 프로젝트 수행 체계입니다. 프로젝트 수행 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년 동안 진행했던 IPD 기반 가상건설 게임을 바탕으로 얻은 경험을 나눔해 봅니다.
No.13 - BIM 문제점 - 2011.8
BIM의 문제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BIM을 도입할 때 주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No.12 - Cloud BIM - 2011.7
Cloud BIM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BIM 서비스 모델이 급격하게 클라우드 기반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기술과 응용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No.11 - BIM R&D - 2011.6
BIM R&D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어 수행되고 있는 BIM 연구 과제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No.8. BIM의 객체지향적인 원리 - 2011.5
BIM의 객체지향적 원리
안녕하세요. BIM의 객체지향적인 원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BIM은 건설객체들을 모델링한 데이터베이스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객체란 벽체, 지붕, 창, 바닥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객체는 보통 객체명, 속성, 관계, 메소드로 구성됩니다. 관계는 객체와 객체간에 관계를 맺는 방식에 따라, 일반화, 의존, 연관, 포함 및 집합 관계를 정의한 것입니다. 이 방송은 건설 정보 관점에서 객체 지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BIM의 객체지향적인 원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BIM은 건설객체들을 모델링한 데이터베이스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객체란 벽체, 지붕, 창, 바닥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객체는 보통 객체명, 속성, 관계, 메소드로 구성됩니다. 관계는 객체와 객체간에 관계를 맺는 방식에 따라, 일반화, 의존, 연관, 포함 및 집합 관계를 정의한 것입니다. 이 방송은 건설 정보 관점에서 객체 지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2015년 3월 1일 일요일
2015년 2월 7일 토요일
No.6. 객체의 관계성 - 2011.3
객체의 관계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객체의 관계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BIM 모델 구조에서 핵심은 관계성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위상으로 설명되는 정보의 관계성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객체의 관계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BIM 모델 구조에서 핵심은 관계성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위상으로 설명되는 정보의 관계성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No 1. BIM의 원리 - 2011.2
BIM의 원리
안녕하세요. Engineering podcast 시즌 3를 시작합니다. 복구하고, 저렴하고 지속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데, 거의 3개월이 걸렸네요. 나름 알아본 방법은 BIM principle site에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11년 2월쯤에 첫방송으로 시작했던, BIM의 원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Engineering podcast 시즌 3를 시작합니다. 복구하고, 저렴하고 지속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는 데, 거의 3개월이 걸렸네요. 나름 알아본 방법은 BIM principle site에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11년 2월쯤에 첫방송으로 시작했던, BIM의 원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